유상으로 물건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세금이 부과 될수 있는데,

과세표준을 정해야합니다.

사실상 취득가액과,

장부상 취득가액으로 정하는 경우가 있는데,

이번시간에는 사실상 취득가액으로 과세표준을 정하는 경우 알아보겠습니다.

 

★사실상 취득가액으로 취득하는 경우

1. 수입으로 인한 취득

(외국에서 수입되는 경우는 관세등으로 확인이 가능하죠)

2. 정부으로 취득

(중앙/지방정부 모두 포함)

3. 공매로 인한 취득

4. 법원 판결로 인한 취득

(이때 주의점은 화해/인낙/포기로 인한 것은 제외됩니다.)

5. 법인 장부로 취득가액 입증

 

'경제(Economy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입목등기  (0) 2018.09.01
상속으로 취득한 농지 세율  (0) 2018.08.31
Korea`s sauce  (0) 2018.08.31
국외자산 양도소득세  (0) 2018.08.30
미등기 양도 자산에 해당 안되는 경우.  (0) 2018.08.30